• 이야기
    2019.03.15 20:44

    돌아온 아들과 함께 살기

    조회 수 70 추천 수 0 댓글 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돌아온 아들과 함께 살기


    졸업 후 십 년간을 샌프란시스코에 직장과 방을 얻어 생활하면서 주말에만 집에 오던 아들이 일 년 전에 새 직장을 저의 집과  내 집 중간으로 옮겼다.
    그동안 주말이나 집에 오던 아들이 올해는 춥고 비가 내리는 날도 많고 엄마가 정성껏 차려준 밥상에 반하여 하루 이틀 더 머물더니 한달여 전부터는 
    제집으로 갈 생각 없이 직장을 다니며 뒤늦게 '캥거루족'이 되었다. 

    저의 집은 비어있는 날이 많아서 렌트비도 아깝고 가끔 우편이나 수거 해오니 이런 낭비가 있겠나. 
    문제는 아들의 직장은 거의 City 쪽으로 몰려 있어 만약에 그곳으로 다시 돌아갈 경우가 생긴다면 지금의 두 배의 렌트비를 지불해야 하니 쉽게 결정
    하기도 어렵다. 

    엊그제 신문에 샌프란시스코 1 베드룸 평균 렌트비가 3,690불이라는 것을 보면서 많은 가정에서 자녀와 함께 생활한다는 것을 실감(實感)한다. 
    30대 중반까지도 부모에게서 독립하지 못하는 미국인들이 늘고 있고 25살 백인 남성 가운데 4명 중 1명은 부모와 함께 살고 있다고 한다. 
    그런데 요즈음은 자녀가 백수가 아니더라도 사정에 의해 같이 생활해야 하는 경우가 늘어나면서 나이 든 한국 부모는 한식에 깃들여진 자녀의 
    뒷바라지를 하기가 쉽지 않다. 

    독립 정서가 강한 미국 가정은 대개 본인이 알아서 음식과 세탁을 챙기는 생활에 젖어 있으니 한결 수월해 보인다. 
    좋은 점도 있어서 아들 덕분에 식사다운 식사로 생활의 만족도는 훨씬 부드럽고 은퇴 후 외로움을 느끼지 않아서 좋다. 
    그러나 집사람은 시장에 가는 횟수부터 늘어나게 되고 회사에서 늦게 오면 괜한 기우(杞憂)에 걱정하게도 된다. 
    미국에서 산 생활이 오래되었어도 한국 가족의 훈훈한 연대감과 애정으로 보살펴 주게 되지만, 혹시나 어린시절을 생각하며 권위적인 소통으로 
    이어질까 조심스럽기도 하고 불편하기도 하다. 
    올 해에는 인성이 좋은 규수 만나 독립해 생활 하기를 기대해 보며 그동안은 적당한 하숙비를 받아내어 집사람에게 건네야 겠다.

    • profile
      cali 2019.03.19 08:29
      장성한 아드님이 함께 있으니 의지도 되고 든든하시겠읍니다~
      ㅎㅎ 하숙비는 저 같해도 조금 내라고 할것 같습니다.
    • ?
      musim 2019.03.19 11:27
      cali 님,

      서울에 살면서 골목길에 마주한 할머니 자매 같은 친구의 집을 손에 이끌려 어쩔 수 없이 참석(?)했습니다. 
      종종 외아들인 아버지를 정성 들여 키우신 이야기를 친구분들에게 하시는 말씀을 많이 들어 왔습니다. 
      그 영향으로 훗날 내게 가족이 생긴다면 자식에게 그런 섭섭함은 갖지 않게 생활해야겠다고 생각했습니다. 
      그것이 좋은 생각인지는 모르겠지만 아직 그 고집을 준수하고 있습니다. 

      간단히 줄이면 부모로 형편대로 해 줄 수 있는 만큼 최대한 하겠지만, 저의 할머니께서 가지셨던 감정을 갖게 되는 자녀와의 관계는 멀리했지요. 
      이러한 내 생각은 미국에 와서 'Dan의 어머니'를 만나면서 더욱 생각해 보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이야기가 길어졌는데, 여기 시에라 산악회 초창기에 올렸던 글을 보내니 한가한 시간에 보세요.
      하숙비는 넉넉히받지요. ^ ^
      고맙습니다.

      page #17, 잊지 못할 사람 (Dan의 어머니) 2016년 4월 18일.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88 느낌 동창생과 건강 2 musim 2019.10.03 59
    287 웃기 동물들 사진 보세요 5 file 호담 2020.04.18 77
    » 이야기 돌아온 아들과 함께 살기 2 musim 2019.03.15 70
    285 정보 독풀들의 이름 7 file Lulu(룰루) 2023.06.22 131
    284 인사 덕분에 잘 지내고 있습니다. 13 musim 2022.05.15 282
    283 이야기 더불어 산다는 것 2 musim 2018.02.21 46
    282 알림 댓글이 안됩니다 7 file cali 2022.06.03 116
    281 이야기 답답한 마음에 2 청실 2016.07.11 64
    280 정보 단풍구경하세요!! Great Smoky Mountains NP!!! 7 file 호담 2021.11.03 127
    279 정보 다리에 쥐가 났을때의 응급처치법. 4 산. 2017.12.12 59
    278 정보 다른 행성에서 온 것 같은 경이로운 풍경 42곳 산. 2018.02.08 56
    277 정보 다담 사골곰탕 캡슐-백패킹을 하더라도 맛은 포기할수 없다면.. 10 미셀 2017.01.18 84
    276 느낌 닉네임, 이건 아니잖아! 2 musim 2016.12.26 50
    275 알림 뉴콰이어 공연안내 3 file candycandy 2022.11.30 140
    274 정보 뉴콰이어 2024 봄 정기공연 (이번주말 저녁) 2 file 호담 2024.06.04 87
    273 이야기 뉴스네에 논란이 된 경매로 나온 집 구매 이야기^^ 2 미셀 2024.05.28 93
    272 알림 눈이 펑펑 내리네요! 11 file 산. 2017.01.19 83
    271 알림 눈산행시 조심하여야할 '코니스(cornice)' 3 산. 2017.04.13 54
    270 알림 눈 위에 찍힌 발자국! 3 file 산. 2020.11.12 73
    269 느낌 노인과 스포츠카 4 musim 2020.01.01 82
    Board Pagination Prev 1 ...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 35 Next
    / 35